들어가기 전에...
제목에는 1편이지만 사실 이번이 첫번째 인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 https://kimcastleowner.notion.site/Kar-Rocket-Launch-Log-ff1aed9c54c24de5bd24d06b61c17478?pvs=4
준비한 것 (실험 내용)
- 새로 만든 수신기 정상 작동 여부
- 2개의 연료 연소실험
사용 장비
본래 왼쪽의 보드는 로켓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든 PCB이지만, 만들고 보니 생긴것도 깔끔하고 수신기로 사용하기에도 적당하여 이번에 테스트 겸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전 포스팅 : 2025.03.05 - [발사체] - Kicad로 PCB 제작하기 (1)에서 새 버젼을 만들었다.)
실험 영상
문제 발생..
모든 프로젝트에는 난관이 있기 마련이다. 본래 OpenMotor로 계산한 이 모터의 충격량은 400Ns 정도 되지만 실제로 로드셀로 관측된 값은 1~2kg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피크 추력이 2kg이고 약 3초정도 연소 했으니 아무리 잘 처줘도 40Ns가 되지 않는 양이다. 우리는 그대로 실망하고 집에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솔직히 이 때에 정말로 실험이 망했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 시실리안 1차 발사 이후, 한번도 정상정인 값을 얻어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반전
내가 코딩한 로드셀로 데이터를 받는 방식은 Lora 모듈을 이용해 10hz로 측정한 값을 1초에 한번 보내는 형식이다. 따라서 raw데이터는 아래 사진과 같이 복잡한 형태로 보여진다.
뭔가 이상한 것이 있지 않은가? 농담이고 이렇게 복잡한 데이터를 보자마자 읽는 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말하고 싶은 것은 그것이 아니라
이 라인에 보면 65360ms(65초) 에서 중간 없이 바로 80000ms(80초) 대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아두이노가 켜지고 60초 후에 점화가 되도록 했기에 초기시간이 60초 이다.) 그래서 이걸 적당히 가공해서 chatGPT로 그래프를 그래게 시켜보았다.
보면 알겠지만 중간에 데이터가 텅 비어있다.
또한 영상에서 모터의 연소시간은 3~4초인데 반하여, 첫번째 패킷에 데이터는 1초도 되지 않는다.
여기서 살짝의 희망이 생겼다. 어쩌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기록이 되지 않은 것이 아닐까?
이번주 실험은 여기까지 아다. 다음주에 한번 더 연소실험을 할 수 있을 것 같긴 하지만, 정확히 모르겠다. 다음주에 할 때에는 기존 아두이노에 sd카드 모듈을 추가해 백업 데이터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ps. 시험 일지가 여기저기 퍼져있는데(유튜브, notion, 블로그) 이걸 어떻게 정리할지 모르겠다.
'발사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0Ns High-power 로켓모터 개발일지 : 2주 연속 불발하다(3) (0) | 2025.03.23 |
---|---|
Kicad로 PCB 제작하기 : 납땜부터 코딩까지 (2) (0) | 2025.03.20 |
400Ns High-power 로켓모터 개발일지 (2) (0) | 2025.03.17 |
Kicad로 PCB 제작하기 : 설계부터 주문까지 (1) (0) | 2025.03.05 |